본문 바로가기

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셀프 신고, 세금비서로 완벽 해결하는 법

LD쑤니브 2025. 1. 26.
SMALL

부가가치세 세금 신고 마감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그동안은 바빠서 할 틈이 없었어요. 연휴를 맞아 가장 급하고 해야 하는 일부터 쳐내봅니다.

 

24년 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납부 일정 및 자료 조회서비스 제공 일정

24년 2기 부가가치세는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신고와 납부를 완료해야 합니다.

주요 자료 조회 서비스가 제공된 이후, 데이터를 불러오는 방식으로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면 편합니다.

 

자료 조회 서비스 제공 항목 제공예정일
현금영수증 매출/매입, 화물운전자 복지카드 매입 01.01
전자(세금)계산서 매출/매입 내역 01.14
신용카드 매출, 사업용 신용카드 매입 내역 01.14
매입자납부특례 기납부세액 01.15
판매/결제대행자료, 내국신용장/구매확인서 전자발급액 01.16

 

보시는 것처럼 1월 16일 이후엔 국세청에 신고된 모든 자료를 불러올 수 있어요. 단, 종이 영수증으로 제공되는 항목들을 별도로 기입하셔야 합니다.

 

일반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셀프 신고하기

저는 오피스텔을 일반임대사업자로 운영하고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매달 꼬박꼬박 월세를 받으면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부가가치세 신고 할 때는 전자세금계산서로 신고한 월세와 보증금 이자에 대한 세금만 내시면 돼요.

 

현금흐름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세금비서"만 잘 따라가면 신고가 금방 끝나더라고요.

 

세금비서 따라 하기

 

홈택스-첫화면정기확정신고

 

홈택스 첫 화면에서 부가가치세 신고 서비스 클릭 후, 정기확정신고를 클릭하세요.

 

사업자전환선택

 

부가가치세 신고하기 위한 사업자를 선택하시고요.

 

새로작성하기세금비서서비스-시작

 

첫 화면에서 "새로 작성하기"를 클릭하시고, 사업자등록번호를 확인하시면 기본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면서 세금비서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안내문구가 나옵니다. (아싸!)

 

세금비서-시작-예

 

예를 눌러주세요. 😁 세금비서 서비스를 시작하시겠습니까? ▶ 예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

 

 

귀 사업자는 부동산 임대사업자로 부동산 임대공급가액명세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를 작성하시겠습니까? ▶ 예

 

임차인조회

 

임대공금가액 명세서의 흰 칸에 해당되는 내용을 작성하시고요.

임차인조회는 임차인의 사업자번호로 꼭 조회해주셔야 합니다.

 

임대기간은 24년 2기(24년 7월~12월)를 의미합니다.

  • 계속 : 임대기간 동안 세입자 변경 없음
  • 갱신 : 임대기간 내 세입자 계약 갱신함
  • 신규 : 임대기간 내 세입자가 새로 입주함
  • 종료 : 임대기간 내 세입자가 이사감

임대 기간 내 세입자가 변경되었다면 "신규"와 "종료"를 각각 입력해주셔야 해요.

임차수입기재

 

보증금, 월임대료를 입력하면 보증금 이자와 월 임대료 합계가 자동계산됩니다.

고칠 내용이 없다면 그대로  "입력내용 추가하기"를 누르면 아래 목록에 추가됩니다.

세입자가 중간에 나가서 월세를 일할 계산하셨다면 월 임대료 합계를 직접 입력하셔야 해요.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완료

 

부동산임대공급가액명세서를 작성완료하였습니다. 다음 단계로 이동하시겠습니까? ▶ 예

위에서 입력을 잘하셨다면 임대수입 합계가 자동으로 작성됩니다.

월세 외 "보증금 이자"가 자동으로 계산돼서 추가되니 한번 눈여겨보세요.

 

매출처별-세금계산서합계표-작성

 

매출처별 세금계산서합계표 작성 화면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이 미리채움 되어 있습니다.

앞서 작성한 "부동산 임대공급가액 명세서"와 "매출처별 세금계산서"의 합계가 동일한지 체크해 보세요.

종이세금계산서 및 전송기간이 지난 전자세금계산서 발급분을 추가입력 하시겠습니까? ▶ 아니오

저는 매달 일정에 맞춰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했기 때문에 "아니요"를 선택했습니다.

 

매입처별-자동체움

 

앞서 입력한 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 확인 하신 후, 다음 단계로 이동 ▶ 예

 

신용카드-매출전표

 

그다음 단계인 [신용카드 매출전표 등 발행금액 집계표]는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모두 해당 사항이 없기 때문에 스킵했어요. 월세를 신용카드로 받는 분은 안 계시겠죠? 😁

 

기타항목-매출액

 

기타 항목(정규영수증 외, 영세율) 항목은 입력을 해야 합니다. 아까 [부동산임대가액명세서]에서 봤던 [보증금 이자]를 여기에 기입하셔야 해요.

왼쪽 파란색 설명란에 있는 보증금 이자 합계 금액을 아래 [기타(정규영수증 외 과세 매출분) 금액]에 작성하시면, 세금은 자동으로 기입됩니다. 

 

보증금이자-확인

 

저는 보증금이 1,000만 원이었는데 1,000만 원에 대한 1년 치 이자 16,3524원을 기타 항목 매출금액으로 작성했어요.

매출금액이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고,  "다음단계로 이동하시겠습니까? ▶ 예

 

과세표준서-확인

 

과세표준명세서를 매출금액 합계와 일치되게 작성하셔야 하는데요,

여기서 주의사항 ✨월세액 합계와 보증금 이자를 구분해서 넣어주셔야 합니다.

 

신용카드-매입현금-매입

 

집수리하시거나, 임대를 위해 소모품을 구매하시고 비용처리하셨다면 매입처별 세금계산서와 신용카드매입명세, 현금영수증 매입명세 등도 작성해 주셔야겠지만, 저는 딱히 비용이 나간 것이 없기 때문에 그냥 넘어갑니다.  ▶ 아니오 

 

전자세금계산서-세제혜택

 

전자세금계산서를 따박따박 셀프발행하면 개당 200원씩 세제혜택이 있습니다. (200원 소중..🤣)

최대 100만 원까지 세제혜택 가능하고요. 전자세금계산서 발급건수만 입력하면 공제세액은 자동기입됩니다.

저는 24년 2기 6개월 동안 6개의 세금계산서를 발급했기 때문에 1,200원의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었어요. (작고 소중..)

혜택 받은 금액 체크하고 [확인]

 

부가가치세-셀프신고-혜택

 

부가가치세를 셀프로 신청하면 세금 10,000원 할인받을 수 있고요.

 

부가가치세-셀프신고-완료

 

총 부가가치세에서 공제받는 세금을 제외한 최종 세금을 확인하시고, "예"를 클릭하면 부가가치세 신고 끝!!

너무 쉽죠? ㅎㅎ (장부정리가 귀찮은 건 안 비밀..👀)

 

우리 모두 모범납세자가 되는 그날까지.. 돈 열심히 벌어봐요!! 😁😁

 

 

 

SMALL

댓글